반응형
거북목이란 무엇인가?
거북목은 머리가 앞쪽으로 빠지고 목이 일자로 펴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현대인에게 매우 흔한 증상으로, 스마트폰, 컴퓨터 사용이 증가하면서 점점 더 많은 사람이 겪고 있습니다. 거북목이 심해지면 목과 어깨 통증, 두통, 피로감 등 다양한 문제가 따라올 수 있습니다.
거북목을 예방하고 개선하는 자세의 핵심
1. 앉은 자세 바로잡기
- 의자에 앉을 때 엉덩이를 등받이에 밀착시킵니다.
- 허리를 곧게 펴고 허리와 등 사이에 쿠션이나 수건을 대면 좋습니다.
- 모니터는 눈높이와 수평이 되도록 조절합니다.
- 발은 바닥에 평평하게, 무릎은 엉덩이보다 약간 높거나 같은 정도로 맞춥니다.
2. 스마트폰, 노트북 사용법
-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는 화면을 최대한 눈높이에 맞춰 듭니다.
- 장시간 한 자세로 사용하지 말고 30~40분에 한 번씩 자리에서 일어납니다.
- 노트북을 사용할 때는 별도의 거치대를 사용해 화면을 높이고, 키보드는 분리하여 사용하면 더 좋습니다.
3. 서 있는 자세 주의하기
- 어깨와 골반을 일직선으로 맞추고, 양쪽 어깨에 힘을 빼고 자연스럽게 늘어뜨립니다.
- 턱을 너무 앞으로 내밀지 않고, 귀와 어깨가 수직이 되게 신경 씁니다.
- 장시간 서 있을 땐 한쪽 다리로만 체중을 싣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교정 운동
1. 벽에 기대는 자세
- 벽에 엉덩이, 등, 어깨, 그리고 뒷머리가 모두 닿도록 서봅니다.
- 턱을 살짝 안으로 당기면서 귀와 어깨가 일직선상에 있어야 합니다.
- 이 자세를 하루에 5~10분씩 반복해보세요.
2. 목 스트레칭
- 고개를 좌우로 천천히 돌리거나, 귀가 어깨에 닿도록 목을 부드럽게 기울입니다.
- 한 동작씩 10초 정도 유지하며 무리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합니다.
3. 가슴 열기 운동
- 양손을 등 뒤로 깍지 낀 후, 팔을 뒤로 쭉 펴서 가슴을 열고 어깨를 뒤로 당깁니다.
- 10~20초간 자세를 유지한 후 천천히 풀어줍니다.
4. '턱 당기기' 운동
- 의자에 앉아 정면을 바라보고, 턱을 천천히 뒤로 밀어 넣습니다.
- 목뒤가 길어지는 느낌이 들 때까지 당긴 후 10초 유지합니다.
- 하루 10회 이상 반복하면 효과적입니다.
습관이 가장 중요하다
- 좋은 자세를 한 번 실천하는 것으로 거북목이 금방 좋아지지 않습니다.
- 가장 중요한 것은 평소 자신의 자세를 자주 체크하는 습관입니다.
- 주변에 거울을 두거나, 스마트폰 알림 등을 활용해 본인 자세를 확인해보세요.
일상에서 주의해야 할 점
- 베개 높이는 수면 시 목이 꺾이지 않을 정도(약 8~10cm)가 좋으며, 너무 높은 베개는 피합니다.
- 가방은 한쪽 어깨에만 메지 않고, 양쪽 어깨로 메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장시간 운전 시, 운전석 등받이를 곧게 세우고, 휴식 시간을 자주 갖습니다.
- 운동이나 스트레칭 후 목 주변이 아플 땐 잠시 쉬며 무리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외 지켜야 할 팁
- 의자에 앉을 때 허벤치는 항상 등받이와 밀착시키세요.
- 스마트폰이나 독서 시 팔꿈치를 책상이나 베개 위에 올려, 눈높이에 화면이나 책이 있도록 하세요.
- 신체가 피로하다고 느낄 때에는 당장 스트레칭이나 가벼운 운동으로 긴장을 풀어주세요.
결론
거북목은 잘못된 자세와 생활 습관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평소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꾸준히 좋은 자세와 교정 운동을 실천하면 목 건강을 지키고, 불편감을 줄일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내 자세를 스스로 체크하고 바꿔나가려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정기적으로 스트레칭과 교정 운동을 하며, 일상에서 좋은 생활 습관을 만들어가면 거북목 예방과 개선에 큰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