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다나스의 이동 경로와 세력 변화는 기상청, 웨더아이 등 공식 기상기관의 실시간 정보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태풍이 가까워질수록 기상특보와 속보를 자주 확인하고, 안전에 각별히 유의하세요.
1. 태풍 다나스란?

2025년 제4호 태풍 다나스(DANAS)는 필리핀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타갈로그어로 ‘경험’을 의미합니다. 다나스는 7월 초 남중국해에서 발생해 북상 중인 중형급 태풍으로, 여름철 한반도와 동아시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기상 현상 중 하나입니다.
2. 태풍 다나스의 발생과 초기 이동

- 발생 시점: 2025년 7월 5일 새벽, 중국 산터우 남남동쪽 약 370km 해상에서 발생
- 초기 세력: 중심기압 992hPa, 최대풍속 초속 23m/s, 강풍반경 200km
- 진행 방향: 북북동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
3. 2025년 7월 5~9일 태풍 다나스의 위치 및 세력 변화
아래 표는 태풍 다나스의 주요 이동 경로와 세력 변화를 정리한 것입니다.
일시 | 위도 | 경도 | 중심기압(hPa) | 최대풍속(m/s) | 강풍반경(km) | 진행방향 | 속도(km/h) | 위치설명 |
---|---|---|---|---|---|---|---|---|
2025-07-05 15시 | 20.60 | 117.60 | 992 | 23 | 200 | 북북동 | 8 | 중국 산터우 남남동쪽 약 320km 해상 |
2025-07-06 03시 | 21.40 | 117.80 | 990 | 24 | 220 | 북 | 8 | 중국 산터우 남남동쪽 약 250km 해상 |
2025-07-06 15시 | 22.60 | 118.50 | 985 | 27 | 240 | 북북동 | 13 | 중국 산터우 동남동쪽 약 210km 해상 |
2025-07-07 03시 | 24.50 | 119.80 | 985 | 27 | 240 | 북동 | 20 | 중국 푸저우 남남동쪽 약 180km 해상 |
2025-07-07 15시 | 26.00 | 120.70 | 990 | 24 | 210 | 북북동 | 16 | 중국 푸저우 동쪽 약 140km 해상 |
2025-07-08 15시 | 27.40 | 120.70 | 994 | 21 | 190 | 북 | 6 | 중국 푸저우 북동쪽 약 200km 해상 |
2025-07-09 15시 | 27.70 | 119.70 | 998 | 15 | 150 | 서 | 4 | 중국 푸저우 북북동쪽 약 180km 육상 |
4. 태풍 다나스의 현재 위치(2025년 7월 6일 기준)
- 위치: 중국 산터우 남남동쪽 약 250km 해상(위도 21.4°N, 경도 117.8°E)
- 중심기압: 990hPa
- 최대풍속: 초속 24m/s
- 강풍반경: 220km
- 진행방향 및 속도: 북쪽, 시속 8km로 이동 중
5. 앞으로의 예상 경로와 영향
- 7월 7일: 중국 푸저우 남남동쪽 해상까지 북동진, 세력은 점차 약화
- 7월 8~9일: 중국 푸저우 북동쪽 해상 및 육상에 접근, 중심기압 상승(세력 약화), 최대풍속 감소
- 한반도 영향: 현재까지는 직접적인 영향 가능성은 낮으나, 태풍이 머금은 수증기와 간접 영향(폭염, 국지성 호우 등)은 있을 수 있음
6. 태풍 다나스의 특징과 주의사항
- 세력 변화: 북상하면서 점차 세력이 약해지는 경향, 중심기압이 높아지고 최대풍속이 감소
- 진로 변동성: 태풍은 해상 기압계, 북태평양 고기압, 대륙 고기압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진로가 달라질 수 있음
- 간접 영향: 태풍이 한반도에 직접 상륙하지 않더라도, 남쪽에서 유입되는 고온다습한 공기와 수증기로 인해 폭염, 열대야, 국지성 호우가 발생할 수 있음
7. 태풍 정보 실시간 확인 방법
- 기상청 태풍정보 페이지: 태풍의 현재 위치, 예상 경로, 세력 등 공식 정보 제공
- 민간 기상 사이트(웨더아이 등): 상세한 위치, 이동 경로, 예상 영향 등 시각화된 정보 확인 가능
- 뉴스 및 기상 속보: 태풍의 진로가 급변할 수 있으므로, 실시간 속보와 기상특보를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
8. 태풍 다나스와 기상 현상 이해하기
- 태풍의 구조: 중심부(눈), 강풍반경, 비구름대 등으로 구성. 중심기압이 낮을수록, 최대풍속이 높을수록 강한 태풍
- 진로 예측: 태풍은 해수면 온도, 대기 흐름, 주변 기압계의 영향으로 진로가 바뀔 수 있음.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공식 발표를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함
- 피해 예방: 태풍이 직접 상륙하지 않더라도, 해안가·저지대 침수, 강풍에 의한 시설물 파손, 산사태 등 2차 피해에 대비 필요
9. 태풍 다나스 Q&A
- Q. 한반도에 직접 상륙할까?
- 현재로서는 중국 동남부 해안에 상륙 후 세력이 약화될 것으로 보이며, 한반도에는 직접 상륙 가능성이 낮음
- Q. 언제까지 주의해야 하나?
- 7월 9일 이후 세력이 크게 약화될 전망이나, 간접 영향(폭염, 국지성 호우 등)은 계속될 수 있으니 기상특보를 주의 깊게 확인
- Q. 태풍의 이름은 어떻게 정해지나?
- 아시아 태풍위원회 회원국이 제출한 이름을 순차적으로 사용. 다나스는 필리핀에서 제출한 이름
10. 결론 및 요약
- 4호 태풍 다나스는 7월 6일 현재 중국 산터우 남남동쪽 해상에서 북상 중이며, 점차 중국 동남부 해안으로 접근할 전망
- 중심기압 990hPa, 최대풍속 초속 24m/s, 강풍반경 220km로 중형급 태풍에 해당
- 한반도에는 직접 상륙 가능성은 낮으나, 간접 영향(폭염, 국지성 호우 등)에 유의 필요
- 태풍의 진로와 세력은 변동성이 크므로, 공식 기상정보를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안전